전체 글 74

도커(Docker)를 이용한 오라클 설치 및 실행

오늘은 Docker 설치 과정에서의 단계별 설명 및 DockerHub를 통해 Oracle을 다운받고 해당 Container를 실행 및 접속하는 것까지 순차적인 과정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윈도우용 도커(Docker) CE(Community Edition) 다운로드 먼저, https://www.docker.com/get-started 으로 접속하여 오라클을 설치하기위해 도커(Docker)를 설치합니다. 윈도우용 도커는 기본적으로 Windows 10 Pro 64bit 또는 Enterprise 64bit인 경우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해당 버전 이하인 경우에는 "Docker Toolbox"를 클릭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차이점은 "Docker Toolbox"는 자체적으로 VirtualBox를 사용하기 때문에 ..

Container 2020.03.09

오라클 Database 19c(window) 설치 & 실행

오라클(Oracle)을 실습하면서 공부하기 위해 19c 버전을 다운받았었는데, 전체적인 설치 과정 및 실행(접속)까지 순서대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Oracle Database 19c (window) 다운로드1) https://www.oracle.com 으로 접속합니다.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어지는 버전은 12c라고 알고 있는데, 저는 가장 최신버전인 19c(Window 환경)버전으로 다운로드했습니다.  2) 다운받은 zip파일의 압축을 풀고 setup파일 실행.(저는 C드라이브 밑에 OracleDatabase라는 이름의 폴더를 새로 만든후, 그 아래에 압축을 해제했습니다)단일 인스턴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메모리에 하나의 DB가 있는 구조라고 합니다. '데스크톱 클래스'는 '서버 클래스'의 기능에서 몇..

Database 2020.03.08

Spring Container에 Bean등록(Xml) 및 사용 예시

Spring framework에서 중요한 핵심 개념인 DI(Dependence injection)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Xml설정 파일을 이용해서 Spring Container(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class)에 Bean객체를 등록하는 예제입니다.User.java@Componentpublic class User { private Long no; private String name; @Autowired private Friend friend; private List friends; public User() { no = 1L; name = "루피"; } public User(Long no, String name) { this.no = ..

Spring 2019.10.15

Maven project 와 War, Jar파일 차이

Spring Framework 기반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일반적으로 Maven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이때 실질적인 사용법인 'pom.xml'파일 작성방법과WAS(Tomcat)에 의해 변화되는 패키지(package) 위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Maven Project란 무엇인가??우선, 메이븐은 자바소스파일(war또는 jar파일)을 빌드(build), 라이브러리 의존성(dependency), 컴파일(compile), 배포(deploy)를 해결해주는 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자바용 프로젝트 관리도구이며, 이것을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바로 Maven project입니다. 1) pom.xml 구성 ① : pom.xml내의 dependency환경 설정을 위한 변수를 SET. ② : 여기다가 프로젝트에서 ..

Spring 2019.09.26

Tomcat과 Servlet프로젝트 기본 설정하기

1) Eclipse와 Library dependency하지 않도록 maven project를 생성.일반적으로 이클립스에서 Java project로 생성하는 프로젝트는 이클립스의 native project로 생성된다. 이 말은 해당 프로젝트는 이클립스 자체 설정에 종속돼있는 라이브러리를 쓰는 프로젝트를 뜻함. 그리고 라이브러리 등의 설정들이 모두 개발도구(Eclipse 등)에 종속돼있기 때문에 자바코드는 개발환경과 분리가 안됨. 하지만 maven(또는 gradle)을 사용하면 내부에 라이브러리 설정을 셋팅하기 때문에 개발도구와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다른 이클립스 환경에서도 실행이 가능해진다. 2) Eclipse Console창에서의 실행이 아니라 WAS환경인 Tomcat위에서 프로젝트를 실행시킬 것이기 때..

Spring 2019.09.10

VirtualBox로 Linux(CentOS)설치 & 환경 설정하기

Linux(CentOS)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공간 확보&개발 환경 셋팅하기1. 먼저 자신의 컴퓨터에서 Linux를 설치하기위해 디스크공간을 확보하기위한 소프트웨어. VirtualBox를 설치합니다.2. '새로 만들기' 클릭 후 가상 머신 만들기에서 이름과 설치하고자하는 OS종류를 선택합니다. 3. OS설치 및 사용을 위해 가상 하드 디스크의 메모리 용량을 넉넉하게 셋팅합니다. 4. 생성된 메모리 공간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 [마더보드] - [포인터 장치]에서 'USB태블릿'을 선택. 5.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에서 '어댑터에 브리지'를 선택하고 종류를 선택합니다. 6. 셋팅할 OS를 [저장소]-[광학 드라이브]에 올리고 상단에 있는 '시작'버튼 클릭 7. 해당 ..

Container 2019.09.01

이클립스 프로젝트를 Git에 공유(Commit)하기

Git이란?프로젝트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다시 말해,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이다.1. 올리고싶은 프로젝트 우클릭 후 team > share project2.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체크박스 클릭 > Create Repository클릭 (project 체크박스 클릭) > Create Repository클릭 > finish누르면 로컬 저장소 생성 성공!3. 생성한 로컬 저장소와 프로젝트를 연결시켜야함.4. Git Repository창에 생성된 저장소 파일트리를 열어보면(아래 화살표 클릭) 나오는 Remotes우클릭 후 Configure fetch 선택 후 Create클릭! ① Conf..

Backend 2019.08.22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후기 & 공부 방법 공유

2019년도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이후. 필기 합격 후기는 이곳을 클릭! 약 한 달의 실기 시험 준비를 하였고 또다시 약 50일이라는 기간을 더 기다려서 마침내 실기시험 합격 발표가 났습니다!!(실기 성적 발표는 정말 늦게 나옵니다.)다행히도 합격이라서 또 실기 시험 후기 및 공부 방법 공유하고자 합니다. 합격 커트라인은 평균 60점 이상이에요. 필기시험과 다르게 과목별 과락점수는 없습니다. 공부 방법 (1) 알고리즘일단 책을 사면 두꺼운 양에 놀라실텐데.. 네.. 알고리즘의 페이지 수는 각 단원들 중 가장 많습니다.그래도 JAVA와 C언어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고 프로그래밍을 해보셨다면 쉽게 맞출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됩니다.전 책에 있는 모든 문제를 쭉 풀어봤었는데, 실제 시험에서는 책 난이도보..

일상 2019.08.18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후기 & 공부 방법 공유

오늘 저의 첫 기사 시험이었던 정보처리기사 필기 결과가 나왔습니다~ 물론 실기시험이 남았지만ㅎㅎ 합격후기 및 공부 방법을 공유하고자 남겨봅니다.(실기시험 합격후기는 여기에서 확인!!) 바보처럼 마킹을 잘못했는지 가채점보다 낮게 나왔.. 저는 평균 90점이 나왔는데, 커트라인은 과목별로 40점 이상이면서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에요. 준비 기간아무래도 가장 궁금해하셨을 공부 기간!! 저는 정확히 3주 공부했습니다.매우 널널하게 했어서, 빡공하시면 2주도 가능할 것 같아요. 마인드저는 필기시험에 앞서서 합격수기들을 많이 검색해봤어요ㅋㅋ근데 대부분이 커트라인 통과를 목적으로 공부들을 하셨고 그래서인지 기출문제를 무작정 풀었다는 후기들이 많더라고요. 하지만 저는 이왕 할 거 제대로 이해해보고자 했어요.언젠가..

일상 2019.05.18

MySQL 접속 에러 / ERROR 2003 (HY000):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

MySQL 접속 에러ERROR 2003 (HY000):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로컬에서 root계정으로 MySQL접속을 시도했는데 DB Server에 접속되지 않는 에러가 발생했다.위의 에러를 해석해보면 'localhost'(10061). 즉, 로컬에서 MySQL서버에 연결(접속)할 수 없음.이라는 뜻인데, 사실 해당 에러를 한두 번 겪은 것이 아니었다. 보통 이럴 때는 이 에러를 단순하게 'root비밀번호가 틀렸다'로 이해했었는데, 결국은 MySQL을 재설치하면서 해결하곤 했다. (고통의 시간이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비밀번호를 확실하게 적어 두었던 거라 틀림없었기 때문에 해결법을 찾아봤다. 이유가 무엇인고 하오니, DB연결이..

Database 2019.03.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