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3

Oracle 데이터베이스 관련 용어(개념)와 각종 규칙

Oracle 데이터베이스 관련 개념(Key 등)와 각종 규칙들(NULL연산, ROWNUM 등)에 대해 간략히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DB관련 개념 정리1) 정규화(Normalization) : 테이블을 분할하여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불필요한 중복을 줄이는 프로세스.2) 기본키(Primary Key) : 테이블의 각 행을 한 가지 의미로 특정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칼럼. 즉, NULL값과 중복된 값을 모두 허용하지 않음(기본키는 테이블당 하나의 제약만을 정의 가능)3) 고유키(Unique Key) :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음. but Null값은 가질 수 있음. (헷갈리기 ㄴㄴ해)4) 외부키(외래키, Foreign Key) :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로 사용되고 있는 관계를 연결하는 칼럼. 참조하..

Database 2020.09.07

오라클 Database 19c(window) 설치 & 실행

오라클(Oracle)을 실습하면서 공부하기 위해 19c 버전을 다운받았었는데, 전체적인 설치 과정 및 실행(접속)까지 순서대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Oracle Database 19c (window) 다운로드1) https://www.oracle.com 으로 접속합니다.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어지는 버전은 12c라고 알고 있는데, 저는 가장 최신버전인 19c(Window 환경)버전으로 다운로드했습니다.  2) 다운받은 zip파일의 압축을 풀고 setup파일 실행.(저는 C드라이브 밑에 OracleDatabase라는 이름의 폴더를 새로 만든후, 그 아래에 압축을 해제했습니다)단일 인스턴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메모리에 하나의 DB가 있는 구조라고 합니다. '데스크톱 클래스'는 '서버 클래스'의 기능에서 몇..

Database 2020.03.08

MySQL 접속 에러 / ERROR 2003 (HY000):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

MySQL 접속 에러ERROR 2003 (HY000):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로컬에서 root계정으로 MySQL접속을 시도했는데 DB Server에 접속되지 않는 에러가 발생했다.위의 에러를 해석해보면 'localhost'(10061). 즉, 로컬에서 MySQL서버에 연결(접속)할 수 없음.이라는 뜻인데, 사실 해당 에러를 한두 번 겪은 것이 아니었다. 보통 이럴 때는 이 에러를 단순하게 'root비밀번호가 틀렸다'로 이해했었는데, 결국은 MySQL을 재설치하면서 해결하곤 했다. (고통의 시간이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비밀번호를 확실하게 적어 두었던 거라 틀림없었기 때문에 해결법을 찾아봤다. 이유가 무엇인고 하오니, DB연결이..

Database 2019.03.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