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CentOS)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공간 확보&개발 환경 셋팅하기
1. 먼저 자신의 컴퓨터에서 Linux를 설치하기위해 디스크공간을 확보하기위한 소프트웨어. VirtualBox를 설치합니다.
2. '새로 만들기' 클릭 후 가상 머신 만들기에서 이름과 설치하고자하는 OS종류를 선택합니다.
3. OS설치 및 사용을 위해 가상 하드 디스크의 메모리 용량을 넉넉하게 셋팅합니다.
4. 생성된 메모리 공간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 [마더보드] - [포인터 장치]에서 'USB태블릿'을 선택.
5.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에서 '어댑터에 브리지'를 선택하고 종류를 선택합니다.
6. 셋팅할 OS를 [저장소]-[광학 드라이브]에 올리고 상단에 있는 '시작'버튼 클릭
7. 해당 화면에서 tap을 누르면 방금 전에 드라이브에 올렸던 OS를 찾습니다. -> 아래 화면처럼 드라이브가 설정되면 Enter!!
8. Skip을 클릭
9.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기를 클릭합니다. 데이터 보존 시에 실행되지 않는 문제 발생합니다.
10. [네트워크 설정] - [System.eth0]선택 및 변경하기 클릭 - '자동으로 연결' 클릭
11. 리눅스 root계정의 비밀번호 설정
12. 디스크 공간 셋팅을 위해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를 선택
13. 각 메모리 파티션을 만들어줍니다.
① 파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예비공간인 swap
② OS부팅에 사용되는 파일을 담는 /boot
③ 전체 저장공간을 나타내는 /
14.약간의 로딩을 기다리면 Linux 환경 설정을 완료하게 됩니다.
15. 재부팅 후 [저장소] - [드라이브] 우클릭하여 '가상 드라이브에서 디스크 꺼내기'로 OS디스크를 제거해줍니다.
(제거를 안하면 실행할때마다 OS를 설치할껀지 물어봄)
'Docker & V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컨테이너(Container)와 이미지(Image)란? (9) | 2020.11.02 |
---|---|
도커(Docker)와 가상머신(Virtual Machine) 비교 (2) | 2020.10.02 |
도커(Docker)를 이용한 오라클 설치 및 실행 (0) | 2020.03.09 |